[vendor prefix?]
벤더 프리픽스(vendor prefix)란?
css3의 기능은 웹표준이 아니였다. 때문에 어떠한 속성을 주었을 때에, 브라우저마다
원하는 화면을 출력하는데 제한적이다. 벤더 프리픽스는 새로운 기능을 모두 제공해야 할 때
변환 효과를 적용하는 스타일 시트 라고 이해하는게 빠를 수 있다.
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브라우저의 버전에 올라가면서, 많은 스타일시트의 속성들이
표준으로 정의되면서 vendor prefix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,
구형 브라우저(하위 브라우저)를 맞춰주기 위해 아직까지도 vendor prefix가 사용된다.
[브라우저별 벤더 프리픽스 사용법]
Browser | Vendor Prefix |
IE or Edge | -ms- |
Chrome | -webkit- |
Firefox | -moz- |
Safari | -webkit- |
Opera | -o- |
iOS Safari | -webkit- |
Android Browser | -webkit- |
Chrome for Android | -webkit- |
일일이 prefix를 주기에는 신경쓸 속성이 너무 많다.
무분별한 사용은 브라우저의 성능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,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
Prefix Fre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다.
<script src="prefixfree.min.js"></script>
http://leaverou.github.io/prefixfree/ - prefix Free 사이트에서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하고,
html에 include 하지만 하면 벤더프리픽스 없이 모든 css를 사용할 수 있다.
https://caniuse.com/- 내가사용할 css가 어느 브라우저까지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다.
자신이 사용할 속성값을 쓰면, 어디까지 지원을 해 주는지 알 수 있다.
예를들어 border-radius:10px; 을 사용하려고 하면,
.className{
-webkit-border-radius: 10px; /* safari, chrome */
-moz-border-radius:10px; /* firefox */
-o-border-radius:10px; /* opera */
-ms-border-radius:10px; /* IE */
border-radius:10px; /* default css */
}
위와같이 사용하면 된다.
브라우저마자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을 사용하고, 없을때 마지막에 default인 border-radius를 사용한다.
'CSS > CSS 활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 활용] tbody scroll 테이블 만들기 (1) | 2020.02.03 |
---|---|
[css] 미디어쿼리 분기점 (0) | 2019.12.26 |
[css 활용] 텍스트/컨텐츠 숨김처리 (3) | 2019.12.20 |
[css 활용] input type="search" 커스텀(x버튼 없애기) (0) | 2019.11.28 |